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청년도약계좌가 내년에 정식으로 출시할 계획을 세우면서 기간과 금액이 수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월 70만원씩 10년을 저축하면 총 1억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
1.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사업
2. 청년 납입액 + 정부 기여금 + 이자 = 최대 5,000만원
3. 청년 납입액 : 월 40만원 ~ 월 70만원
4. 정부 기여금 : 납입액의 최대 6%
5. 이자 :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 가산금리 

청년도약계좌는 대선 공약 시 10년 만기로 1억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고 했으나 재정여건 및 현실성을 고려하여 절반으로 단축되었는데요 기여금의 경우, 개인소득 및 가구 소득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1. 나이 : 만 19세 이상 만34세 이하

2. 소득여건
아래 2가지 요건 동시 충족

- 개인소득 연 6천만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 가구 중위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1인가구 1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100% 1,944,812원 3,260,085원 4,194,701원 5,121,080원 6,024,515원 6,907,004원
중위소득 180% 3,500,661원 5,868,000원 7,550,461원 9,217,944원 10,844,127원 12,432,607원

 

 

청년도약계좌 금액

 

청년도약계좌의 납입액은 월 40만원 ~ 월 70만원으로 자율적으로 납입 가능한데요 정부가 제공하는 기여 금액은 납입액의 최대 6%로 산정되었습니다. 개인 및 가구 소득이 낮으면 본인 납입금의 6%, 소득이 높으면 3%의 기여금이 결정됩니다.

 

최대 월 70만원 납입 + 6% 지원금 = 매월 74만 2000원으로 5년 만기의 경우 4452만원 + 시중은행 금리까지 적용하면 약 5,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모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시중은행의 5년 만기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여 정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현재 시장금리 상황으로 보면 만기인 5년 뒤에는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이 마련될 예정인데요 사실 금리가 더 높아질 것 같아서 그 이상을 이자 수익으로 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유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내용 중 하나는 바로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과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의 중복 가입 유무 일 텐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다른 재정지원책(청년희망적금)과 중복으로 가입할 수 없게 설계된 탓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방안 또한 추진 중에 있다고 하니 기존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되어 있으신 분들도 참고해두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희망하시는 많은 분들께서 신청 기간을 기다리고 계실 텐데요 청년도약계좌의 신청기간은 아직 정확하게 청해지지는 않은 상황으로 2023년 출시 예정이라는 점만 확정되었습니다. 2023년 중으로 신청 기간과 가입 가능 시기 등이 구체적으로 발표될 것으로 보입니다.

* 클릭 시 해당 정보 확인 가능
* 클릭 시 해당 정보 확인 가능
* 클릭 시 해당 정보 확인 가능